본문 바로가기
Better life/건강정보@

겨울에 힘든 수족냉증의 증상과 예방법에 대해서!

by 건물주(건강을 물어봐 주세요) 2021. 2. 11.
반응형

 


추위가 시작되면서 손, 발이 차가워져 일상생활에도
불편함을 겪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다른 신체 부위보다
손, 발 끝이 차가워지는 증상이 수족냉증입니다.
평균적으로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나고
나이가 들 수록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노년층으로 갈수록 더 많이 겪게 됩니다.
오늘은 삶의 질을 떨어트릴 만큼 불편한
수족냉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수족냉증 원인


1) 갑상선 기능 저하증

인후 앞쪽에 있는 작은 호르몬 샘인 갑상선은 신체의 신진대사와
정상적인 기능에 중요한 많은 호르몬을 만들어 냅니다. 
갑상선 저하증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이런 호르몬을 생성하지 못해
신체의 혈류량이 감소하여 수족냉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빈혈

신체 내에 산소를 운반하기에 적혈구가 많지 않을 때 빈혈이 발생하게 됩니다.
빈혈의 증상으로 손과 발이 차갑게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피로감, 현기증, 두통, 창백한 표면으로 증상이 나타납니다.


3) 스트레스

불안이나 스트레스에 인해 수족냉증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에피네프린의 급증으로 불안과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으며 에피네프린의
호르몬이 발가락, 손가락의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류를 
감소시켜 손, 발을 차갑게 만듭니다.


4) 약물 복용

우리 알지 못하는 약물로 인해 손, 발이 차가워질 수 있습니다.
일부 항암제, 충혈 완화제, 암페타민 등과 같은 혈류에 영향을 주는
약물들은 손, 발의 작은 혈관들을 수축시켜 피가 잘 돌게 되지 않습니다.
근육이나 혈관 등의 수축으로 손, 발로 흐르는 혈액의 양이 감소되며
이러한 이유로 손, 발에 따끔하면서도 차가운 느낌을 받게 됩니다.


5) 말초 동맥 질환

노년 층에서 발생하는 말초 동맥 질환은 심혈관 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이 질환은 다리나 팔 쪽의 동맥에 노폐물이 쌓여 손, 발로 가는
혈류를 차단시키게 됩니다. 주로 발, 다리에서 발생하지만 종종 손, 팔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6) 혈전

신체의 다른 곳에서 만들어진 혈전으로 인해 손, 발이 차가워질 수 있습니다.
피가 응고되어 침전물이 생기는 것이 혈전이며 이런 혈전으로 인해
손, 팔, 손가락이 통증과 함께 차가움을 느끼게 됩니다.

 


- 수족냉증 예방법

손, 발과 함께 신체 전체의 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가운 날씨에 외출하게 된다면 장갑, 머플러, 모자, 얇은 옷을 
레이어링 해서 온 몸의 보온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혈액 순환을 위해서 너무 꽉 끼게 입는 것보다는
편안하면서도 따듯하게 신체를 보호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추운 겨울 외출 한 뒤라면 따듯한 물로 반신욕이나 족욕을 통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주시면 좋습니다.
하지만 반신욕을 너무 오래 하면 빈혈이 생길 수 있으니
38-42도 정도의 온도에서 20분 정도로만 하시는 게 좋습니다.
마친 후에도 마무리는 따듯한 물로 신체를 유지해주세요.

겨울이라 많이들 운동하는 것을 꺼리지만 수족냉증에는
근력운동이 좋습니다. 근력 운동을 함으로써 근육량이  늘게 되고
근육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기초 대사량이 증가합니다.
우리 신체는 기초대사량이 증가할수록 체온이 상승하게 됨으로
힘들더라도 근력운동을 하는 게 좋습니다.



- 수족냉증에 좋은 음식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생강은 꾸준히 섭취하게 될 경우에 위장 운동이
활발해져 열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수족냉증에도 좋은 도움을 주며
미나리의 향기인 정유 성분이 신체를 따듯하게 만들어주어
신체의 차가운 기운을 밖으로 내보는 작용을 합니다.
쑥은 신체의 혈액순환을 돕고 양파 또 한 알린 성분이 혈소판에 
영향을 주어 전신이 혈액순환을 도와줍니다.



- 수족냉증에 안 좋은 음식

혈관 수축에 영향을 주는 카페인은 줄이는 것이 좋으며
말초신경에 손상을 주는 알코올도 혈관 수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동맥경화를 만드는 고지방 음식을 혈관의 통로는 막아
피를 잘 돌게 하지 않기 때문에 이 역시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